BigValue Insight <1>💡
2025년 3월 6일

[BigValue Insight] 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업계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,
트렌드·실무 인사이트·산업 지식·그리고 성장에 필요한 모든 이야기들을 공유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습니다.
첫 번째 시작은 구름 대표님과 <금융기관의 이해>를 주제로,
금융기관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쉽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금융산업에 대해 다루어보았습니다.
핵심만 살펴보는 오늘 아티클, 함께 살펴보실까요?

금융은 우리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입니다.
은행부터 시작해서 보험사, 증권사,
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은 여신 전문금융회사까지, 이들은 어떻게 돈을 모으고, 굴리고 우리 경제를 움직이는 걸까요?
[BigValue Insight] 금융기관의 이해는 다섯 가지의 주제를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.
1. 금융기관의 정의와 종류, 그리고 자산 규모
2. 상호 금융과 은행의 구조 및 역할
3. 프로젝트 금융과 대출 구조
4. 금융기관의 데이터 관리 및 역할
5. 여신전문 금융업자의 구조와 운영 방식
BigValue Insight -1. 금융기관, 누가 누가 있나?
금융기관은 금융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, 허가없이는 금융업무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.
주요 금융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은행: 예금 수신 및 대출을 주요 업무로 하며, 가장 많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2. 상호금융: 농협, 새마을금고, 신협 등이 속하며 지역 주민의 금융 편의를 제공합니다.
3. 저축은행: 소규모 은행업을 수행하며, 예금 및 대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4. 보험사: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로 나뉘며, 위험 보장 및 자산 운용을 담당합니다.
5. 여신전문금융회사: 카드사, 캐피탈사 등이 속하며 소비촉진을 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6. 증권사: 주식 투자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,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습니다.
7. 신탁사: 고객의 자산을 위탁받아 관리하며, 부동산 신탁 등 다양한 신탁 상품을 제공합니다.
BigValue Insight -2. 금융기관의 자산 규모, 누가 제일 클까?


은행이 압도적인 자산 규모를 자랑하며, 상호금융과 생명보험사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.
증권사의 경우, 위탁 자산을 포함하면 실제 운용하는 자금 규모는 훨씬 더 클 수 있습니다.
BigValue Insight -3. 금융기관은 어떻게 돈을 모을까?
각 금융기관은 법적으로 허용된 방식으로 자금을 모읍니다.
1. 은행: 예금 수신을 통해 자금을 모으며, 원금 보장 및 이자 지급을 약속합니다.
2. 상호금융: 조합원들의 출자금 및 예탁금을 통해 자금을 모읍니다.
3. 보험사: 보험료 수입을 통해 자금을 모으며, 보험금 지급을 약속합니다.
4. 여신전문금융회사: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모으며, 카드론, 할부 금융 등을 제공합니다.
5. 증권사: 투자자들의 예탁금을 통해 자금을 모으며, 주식, 펀드 등 다양한 투자 상품을 제공합니다.
6. 신탁사: 고객의 자산을 신탁받아 관리하며, 신탁 보수를 받습니다.
BigValue Insight -4. 금융기관, 돈은 어디에 쓸까?
금융기관은 모은 자금을 법적으로 정해진 방식에 따라 투자하거나 운용합니다.
1. 은행: 대출을 통해 자금을 운용하며, 가계 대출 및 기업 대출을 제공합니다.
2. 상호금융: 조합원 대출 및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투자에 자금을 운용합니다.
3. 보험사: 채권 투자 및 부동산 투자 등 장기적인 자산 운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.
4. 여신전문금융회사: 카드론, 할부 금융 등을 통해 자금을 운용하며, 소비 촉진에 기여합니다.
5. 증권사: 주식 투자, 채권 투자, M&A 등 다양한 투자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.
6. 신탁사: 부동산 개발, 자산 관리 등 다양한 신탁 상품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.
BigValue Insight -5. 금융기관의 데이터 관리 및 역할
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금융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.
기존에는 금융기관들이 개별적으로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었지만,
마이데이터를 통해 개인이 본인의 데이터를 모아서 한눈에 관리하고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소비자는 마이데이터를 도입함으로써
흩어진 데이터를 한눈에 조회할 수 있고,
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으로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,
데이터 기반의 신용 관리가 가능해집니다.
금융기업은 마이데이터를 도입함으로써
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,
데이터 활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.
+ 빅밸류는 고유의 빅데이터를 통해 소비자의 부동산을 연결하여
금융기관 마이데이터의 부동산 자산 정보 부족함을 채우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했습니다.

BigValue Insight - 💬 후기 Talk
💡세미나를 통해, 금융기관의 다양한 종류와 역할을 이해하고, 각 기관의 자산 규모와 자금 조달 및 운용 방식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.
💡IMF 사태 이후 금융 시장의 변화와 핀테크 혁신 등의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,
신탁 제도의 개념과 활용 사례 등 관심이 높은 전문가가 아니라면 알 수 없는 지식과 활용 사례까지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.
💡세미나를 통해 금융 시장을 폭넓게 이해하고, 금융 시장과 관련 데이터 이해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.
💡신용 평가, 오픈뱅킹, 마이데이터 등 금융 시장의 주요 개념을 배우고, 조직 구조와 업무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.
빅밸류는 데이터로 세상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, 동료의 무한한 성장을 지원합니다 🚀